2025년 4월 13일
디지털 노마드는 단순한 배낭여행이 아닙니다.
생활하면서 일하는 장기 체류형 라이프스타일이기에, 정확한 예산 계획이 필수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디지털 노마드가 자주 체류하는 **3개 대륙(아시아, 유럽, 남미)**을
중심으로 월평균 생활비와 **항목별 예상 지출**을 정리했습니다.
📍 비용 구성 기준 항목
- 숙소 (한 달 단위 렌트 또는 장기 에어비앤비)
- 식비 (자취 + 외식 병행 기준)
- 코워킹 스페이스 또는 카페 비용
- 교통비 (대중교통 또는 스쿠터 렌트)
- SIM/인터넷, 보험, 기타 여가비
1. 🇻🇳 아시아 – 베트남 호치민 기준
- 숙소: $300~500 (원룸형 에어비앤비, 광랜 포함)
- 식비: $200~300 (현지 식당 이용 중심)
- 코워킹: $80~120 (스팟 이용 or 월 정액)
- 교통: $30~50 (Grab, 오토바이 렌트)
- 기타: $50~100 (SIM, 여가, 커피 등)
총합 월 평균: 약 $700~1,000 (한화 약 95~140만 원)
2. 🇵🇹 유럽 – 포르투갈 리스본 기준
- 숙소: $700~1,200 (중심가 소형 아파트)
- 식비: $300~400 (직접 해먹는 비중 높음)
- 코워킹: $150~250 (노마드 중심 공간)
- 교통: $50~80 (지하철 정기권)
- 기타: $100~150 (보험, 여가, 심카드 등)
총합 월 평균: 약 $1,300~2,000 (한화 약 175~270만 원)
3. 🇨🇴 남미 – 콜롬비아 메데진 기준
- 숙소: $400~700 (장기 숙소, 보안 포함)
- 식비: $200~250 (로컬 식당 중심)
- 코워킹: $80~120 (지역별 가격 차 있음)
- 교통: $20~40 (메트로, 우버)
- 기타: $50~100 (SIM, 여가 등)
총합 월 평균: 약 $800~1,200 (한화 약 110~165만 원)
💸 예상 외 지출 주의사항
- 의료비 (해외 보험 미가입 시 응급 진료비 부담 ↑)
- 장기 비자 발급 수수료 및 서류 인증 비용
- 노트북/장비 도난·파손 대비비용
- 항공권: 도시 간 이동 잦을 경우 전체 예산 상승
📌 디지털 노마드 예산 관리 팁
- 월 고정지출 예산표 만들기 (스프레드시트 추천)
- 지역마다 ‘물가 vs 와이파이’ 균형 고려
- 비상금 최소 $1,000 이상 확보
- 현지 통화 수수료 절감: Wise, Revolut 등 다중통화 카드 활용
📍 마무리
디지털 노마드의 매력은 장소의 자유로움에 있지만, 재정의 안정성 없이는 그 삶도 오래 지속되기 어렵습니다.
오늘 소개한 데이터를 바탕으로, 자신에게 맞는 국가, 예산, 루틴을 설계해보세요.
가장 중요한 건 ‘지속 가능한 여행’입니다.
'디지털노마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지털 노마드 커플의 삶: 연인과 함께 원격 근무하기 (0) | 2025.04.13 |
---|---|
노마드 비자를 쉽게 받는 노하우 & 서류 준비 팁 (2) | 2025.04.13 |
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생산성 앱 & 툴 10선 (무료 위주) (0) | 2025.04.13 |
2025년 최신 디지털 노마드 직업 트렌드 TOP 5 (0) | 2025.04.12 |
디지털 노마드의 장단점 솔직 후기: 당신에게 맞는 삶일까? (1) | 2025.04.12 |
댓글